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kubernetes
- keda
- aews
- CAS
- 외부 모듈
- storageclass
- 클라우드 엔지니어
- POD
- k8s
- eks endpoint access
- Jenkins
- observability
- karpenter
- AWS
- 단기 합격
- 공부 방법
- EKS
- 클라우드 국비지원교육
- 국비지원교육
- aews vault
- Terraform
- VPA
- docker
- 도커
- volume
- Python
- 합격 후기
- HPA
- aews ci/cd
- 클라우드 국비지원교육 후기
- Today
- Total
목록volume (2)
모험가

이 글은 인프런의 대세는 쿠버네티스 강의를 보며 정리한 글입니다. Volume =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 -> k8s Cluster과 분리되어서 관리됨 Volume에는 크게 2가지가 있음 1. Internal Network 2. External Network Internal Network - 내부망에서는 On-Premise Solution을 설치할 수 있음 ex) StorageOS, Ceph, GlusterFS와 같은게 있고 이것이 노드 자원을 이용해 Volume을 관리 - 내부망에서 k8s를 구성하는 node의 hostPath, local Volume을 이용 가능 - 내부망에서 NFS를 사용해서 다른 서버를 Volume으로 사용 가능 External Network - 외부의..

이 글은 인프런의 대세는 쿠버네티스 강의를 보며 정리한 글입니다 Volume -> Pod안에 volume이 생성되므로 pod가 망가지면 volume도 날라감 (일시적인 정보만 쓸 것) 1. emptyDir2. hostPath3. PVC / PV emptyDir : 컨테이너끼리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서 볼륨을 사용하는 것 (최초에는 항상 비어있기에 명칭임) hostPath : 각 노드의 path를 사용, 즉 pod가 죽어도 volume은 살아있음 but 만약 pod가 죽고 다른 node에 생성이 된다면 이 pod는 volume에 mount가 불가능함 -> Node추가시마다 Mount를 걸어주면 가능은 함 PVC / PV : 외부 volume에 연결하기 위해 만드는데 PV에 바로 연결이 아닌 PVC를 통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