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docker
- aews vault
- 클라우드 국비지원교육 후기
- observability
- 국비지원교육
- CAS
- 합격 후기
- HPA
- aews ci/cd
- EKS
- aews
- AWS
- volume
- storageclass
- k8s
- 도커
- eks endpoint access
- 클라우드 국비지원교육
- 외부 모듈
- POD
- Jenkins
- Python
- karpenter
- 단기 합격
- Terraform
- keda
- 클라우드 엔지니어
- VPA
- 공부 방법
- kubernetes
Archives
- Today
- Total
모험가
AEWS 2주차 - Networking(네트워크 분석 툴 Kubeskoop 설치) 본문
본 글은 가시다님이 진행하시는 AEWS(AWS EKS Workshop Study)를 참여하여 정리한 글입니다. 모르는 부분이 많아서 틀린 내용이 있다면 말씀 부탁드리겠습니다! |
Kubeskoop
Kubeskoop란?
KubeSkoop은 쿠버네티스 네트워크 및 시스템 모니터링을 위한 오픈소스 도구입니다. Alibaba Cloud에서 개발하였으며,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네트워크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문제를 감지 및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 KubeSkoop의 주요 기능
KubeSkoop은 쿠버네티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모니터링하고 디버깅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네트워크 상태 모니터링
- Pod, Service, Node 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
- 네트워크 패킷 드롭, 연결 실패 등을 감지하여 문제 해결에 도움
2️⃣ eBPF 기반 네트워크 추적
- eBPF(Extended Berkeley Packet Filter)를 활용하여 경량 모니터링 제공
- 네트워크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추적하고 성능 저하 없이 분석 가능
3️⃣ 패킷 손실 및 지연 시간 분석
- TCP 연결 상태, 재전송 패킷, 지연 시간 분석 지원
- 네트워크 장애 발생 시 원인 분석 가능
4️⃣ 네트워크 트러블슈팅 및 시각화
- 네트워크 장애 원인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UI 및 CLI 기반 데이터 제공
- 서비스 간 네트워크 흐름을 시각적으로 분석하여 문제 해결 가능
Kubeskoop의 아키텍처는 위와 같습니다.
Kubeskoop 설치 및 웹 접속
Kubeskoop Bundle설치 및 서비스 부착
# kubeskoop 설치 및 서비스 부착 (webconsole, 프로메테우스, 그라파나)
kubectl apply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alibaba/kubeskoop/main/deploy/skoopbundle.yaml
kubectl patch service webconsole -n kubeskoop -p '{"spec": {"type": "LoadBalancer"}}'
kubectl patch service prometheus-service -n kubeskoop -p '{"spec": {"type": "LoadBalancer"}}'
kubectl patch service grafana -n kubeskoop -p '{"spec": {"type": "LoadBalancer"}}'
skoopbundle 리소스 확인
kubeskoop 번들 리소스 확인
kubectl get-all -n kubeskoop
kubectl get pod -n kubeskoop
Kubeskoop 웹 콘솔 접속
# kubeskoop 서비스 확인
kubectl get svc -n kubeskoop webconsole
# kubeskoop 웹 접속 : admin / kubeskoop
kubectl get svc -n kubeskoop webconsole -o jsonpath='{.status.loadBalancer.ingress[0].hostname}' | awk '{ print "KubeSkoop URL = http://"$1""}'
프로메테우스 웹 콘솔 접속
# 프로메테우스 웹 접속
kubectl get svc -n kubeskoop prometheus-service -o jsonpath='{.status.loadBalancer.ingress[0].hostname}' | awk '{ print "prometheus URL = http://"$1""}'
그라파 웹 콘솔 접속
# 그라파나 웹 접속 : admin / kubeskoop
kubectl get svc -n kubeskoop grafana -o jsonpath='{.status.loadBalancer.ingress[0].hostname}' | awk '{ print "grafana URL = http://"$1""}
기본적으로 서로 유기적으로 연동되어 있으며 그라파나에도 대시보드가 2개 구성되어있습니다.
* 이게 kubeskoop 웹에 있는 대시보드로 연동되는거겠죠??
그리고 설치하고 리소스가 많아서 개수를 보니 파드 8개를 포함하여 45개의 리소스가 생성되네요
기능
Kubeskoop은 Latency 이외에도 패킷 캡처, 연결 확인, 이벤트, 로그, 등등 많은 기능이 있어보입니다.
오늘은 정말 설치만 해보았고 나중에는 기능을 하나하나 다뤄볼 수 있는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쿠버네티스 > A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EWS 3주차 - Storage(EFS, Spot Node Group) (1) | 2025.02.21 |
---|---|
AEWS 3주차 - Storage(PV, PVC, EBS) (0) | 2025.02.21 |
AEWS 2주차 - Networking(ExternalDNS, CoreDNS) (0) | 2025.02.13 |
AEWS 2주차 - Networking(Service, kube-proxy mode, ingress) (0) | 2025.02.13 |
AEWS 2주차 - Networking(CNI, 최대 파드 개수) (0)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