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keda
- Python
- VPA
- kubernetes
- 클라우드 국비지원교육
- 국비지원교육
- HPA
- eks endpoint access
- aews vault
- k8s
- 합격 후기
- CAS
- POD
- 단기 합격
- 클라우드 엔지니어
- aews
- karpenter
- 외부 모듈
- Terraform
- 공부 방법
- volume
- aews ci/cd
- EKS
- storageclass
- AWS
- docker
- 도커
- 클라우드 국비지원교육 후기
- observability
- Jenkins
Archives
- Today
- Total
모험가
도커 (간단한 설치 및 명령어) 본문
도커 돌리기 위해 3가지 환경이 있음
1. Dokcer toolbox
2. WSL
3. Vagrant
우리는 3번째 쓸 것임.
1. Docker Desktop 설치
2. git 명령어 설치
3. chocolatey 설치
4. cd .. .. 제일 상위에
git clone https://github.com/Jpub/15_DandK.git
으로15_dandk 설치

15_dandk 에서 vagrant-minikube로 들어가기
vagrantfile을 보면
vagrant up으로 프로비저닝 이후
xshell로 접속
프라이빗 키 위치는 요기
아이피 주소는 cmd창에서 찾아서 넣기
172.16.10.10
단독 노드에서 docker 명령어
실시간 컨테이너 확인 => docker stats <컨테이너 이름>
실습
docker run --name webserver -d -p 80:80 nginx
docker exec -it webserver
apt-get update
apt-get install vim
vim /usr/share/nginx/html/index.html 수정
IP로 확인하면 웹서버가 바뀐게 보임
'도커'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actions와 docker hub를 이용한 CI/CD (0) | 2022.07.27 |
---|---|
Docker 간단한 어플을 실제로 배포해보기 (Travis CI 이용 순서) (0) | 2022.06.12 |
Docker 간단한 어플을 실제로 배포해보기 (github에 소스 코드 올리기) (0) | 2022.06.12 |
Docker 간단한 어플을 실제로 배포해보기 (개발 환경) (0) | 2022.06.12 |
도커 (컨테이너와 로컬 컴퓨터 통신에러 해결) localhost 에러 (0) | 2022.06.09 |